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과 '오아시스' 속 사랑의 모습

by feelcozy 2024. 6. 5.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과 '오아시스' 속 사랑의 모습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과 "오아시스"는 장애가 있는 개인의 삶과 사랑의 여정을 그려낸 두 영화입니다. 두 영화 모두 그들의 서사와 문화적 맥락이 다르지만 장애가 있는 사람을 사랑하는 경험에 대해 그려내며 우리 사회의 단면을 보여줍니다. 이 글에서는 이 영화들이 어떻게 사랑과 장애를 묘사하는지, 두 영화가 가진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사랑과 독립

이누도 잇신 감독의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은 대학생 츠네오와 신체장애를 가진 젊은 여성 조제의 관계를 탐구하는 가슴 아픈 일본 영화입니다. 영화는 독립과 개인적인 성장이라는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그들의 로맨스의 복잡함을 아름답게 포착합니다. 이 영화에서 조제의 장애는 처음에 그녀의 독립을 막는 장벽으로 묘사됩니다. 조제는 츠네오와 만나기 전까지 할머니의 보살핌을 받으며 은둔 생활을 합니다. 복지 관련 업무를 보던 도중 우연히 다락방에 숨어있는 조제를 보게 된 츠네오는 이후 계속해서 그녀를 생각하게 됩니다. 둘은 사랑에 빠집니다. 츠네오의 지원으로 조제는 점점 더 '살아나갈 수 있다'는 자신감과 독립성을 얻습니다. 사랑이 자아 성장의 강력한 촉매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영화는 개인적인 경계와 존중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그들의 관계가 발전되어 가는 과정을 섬세하게 묘사합니다. 

 

 

오아시스: 사랑과 사회적 낙인

이창동 감독의 "오아시스"는 인지 장애를 가진 남자 종두와 뇌성마비를 가진 여자 공주의 사랑에 대한 적나라하고 현실적인 묘사를 보여주는 한국 영화입니다.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에서 더 낭만적인 접근 방식과 달리, "오아시스"는 사회적 낙인에 정면으로 맞서며,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직면하는 편견을 직접적으로 묘사합니다. 종두와 공주의 관계는 그들의 가족에게도, 사회에서도 회의적으로 그려지며, 명백한 적대감에 직면합니다. 영화는 그들이 직면한 어려움을 피하지 않고, 대신 그들의 사랑이 사회적 기대를 어떻게 저버리게 하는지를 강조합니다. 둘의 사랑은 서로가 서로에게 수용과 이해를 찾는 안식처가 됩니다. 그들의 애정과 그 둘을 바라보는 사회의 냉혹한 시선이 보여주는 극명한 대조를 통해 장애인들이 직면하는 사회적 장벽을 체감할 수 있습니다. 

 

 

테마 비교 및 대조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과 "오아시스"는 모두 장애를 가진 사람을 사랑하는 경험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이 개인적인 성장과 도전을 극복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면, "오아시스"는 더 넓은 사회적 맥락에서 발생하는 외부적인 장애들을 강조합니다.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에서는 자립을 향한 조제의 여정과 사랑이 그녀 스스로 부과한, 또는 세상이 그녀에게 부과한 한계들로부터 어떻게 벗어나도록 돕는지를 중점적으로 보여줍니다. 반면, "오아시스"는 외부적인 판단과 사회적인 거부가 장애를 가진 주인공들의 삶에 어떻게 깊은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주면서, 구조적 대립을 사실적으로 보여줍니다. 

 

 

 

나가며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과 "오아시스"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사랑을 깊이 있게 묘사합니다. 두 영화 모두 사랑의 변화적인 힘을 강조하지만, 하나는 개인적인 성장과 독립에 초점을 맞추고, 다른 하나는 사회적인 낙인과 수용에 초점을 맞춥니다.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속 인물들은 독립과 상호 존중을 강화하는 관계를 형성하는 복잡한 과정을 헤쳐나갑니다. 이와 대조적으로, "오아시스"는 사랑을 사회의 편견과 오해와 맞서고 극복해야 하는 힘으로 묘사하면서 보다 도전적인 관점을 제시합니다.
궁극적으로 두 영화는 사랑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인격체로서 장애인에 대한 공감, 이해 및 인식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주제를 탐구함으로써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과 "오아시스"는 사랑과 장애의 교차점에 대한 대화의 지평을 넓히는데 기여하고 시청자들이 그들 자신의 인식과 편견을 반성하도록 촉구합니다.